오늘은 여러곳에서 사용하는 Markdown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.
Markdown은 Jupyter Notebook 및 Github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.
Markdown은 텍스트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.

위의 페이지에서 서울어때?는 앞에 #을 달아서 글자 크기를 조절한 것이다.
이는 #이 1개부터 6개까지 붙여서 사용이 가능하며 #의 개수가 적을 수록 더 큰 크기로 지정한다.
Jupyter Notebook에서는 글자크기 뿐만 아니라 아래에 있는 것들을 범주로 지정하여 접기, 펼치기 등을 할 수도 있다.
아래에 항목들은 앞에 -,+,*를 이용해 항목들을 만든 것이다.
항목들끼리 줄바꿈을 하고싶으면 스페이스바 두번을 마지막에 넣어야 줄을 바꿀 수 있다.
+,-,*를 이용해서 만든 것들은 여러개를 안에 넣을 수 있다.
여러개를 넣으면 순서대로 나타나며 +,*,-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상관없다.
그리고 하위 항목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Tab키로 띄워써야 하위 항목으로 들어간다.

문구강조는 여러가지 방법을 이용해 할 수 있는데 *,**,_,__,~를 이용해서 문구를 강조할 수 있다.
앞 뒤에 문구강조를 위한 표시를 입력하면 된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사이트 (2) | 2024.09.29 |
---|---|
[2024년 정보보호 전문교육] 대구 경북 보안교육 (3) | 2024.09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