판다스에서 데이터 타입은 int64, float64, object가 있다.
이는 순서대로 정수, 실수, 문자열을 나타낸다.
시리즈에서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.
기본적으로 시리즈를 보게되면 마지막 부분에 Name과 dtype이 나오는데, dtype가 내부 원소들의 데이터의 타입을 의미한다.
데이터 타입말고 다른 것들도 확인할 수 있다.
shape를 이용하면 내부 요소들의 모양을 알 수 있으며, ndim으로 차원수를 확인할 수 있다.
size로는 원소 개수를 알 수 있고, name의 세부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index를 이용해 name의 리스트와 데이터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.
데이터프레임에서도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.
데이터프레임 생성할 때 list를 이용해서 한글자씩 넣어서 행과 열의 이름을 만들 수도 있다. 여기서 숫자는 넣을 수 없다. 리스트에서 행과 열의 이름을 넣을 때 숫자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.
시리즈와 큰 틀은 비슷하지만 info를 통해 요약정보를 볼 수 있으며, index, columns를 이용해서 행과 열의 이름 리스트 및 데이터를 볼 수 있고, values를 통해 내부 데이터도 확인이 가능하다.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upyter Notebook 기초]데이터 불러오기 및 간단한 데이터 파악 (0) | 2024.10.14 |
---|---|
[Jupyter Notebook 기초]시리즈와 딕셔너리로 데이터 생성하기 (3) | 2024.10.13 |
[Jupyter Notebook 기초]Axis(축) (0) | 2024.10.11 |
[Jupyter Notebook 기초]NaN (0) | 2024.10.10 |
[Jupyter Notebook 기초]DataFrame (0) | 2024.10.10 |